국내 인터넷 전문가의 60% 이상은 ‘IoT 제품을 3개 이상 인지’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이하 KIPFA)가 최근 리서치 전문기관인 이언인사이트와 인터넷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공동조사 한 ‘IoT분야의 기술과 환경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다.
이 조사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전문가들은 60% 이상이 ‘IoT 용어를 인터넷에 검색’ 해봤거나 ‘IoT제품을 3개 이상 인지’하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활동인 ‘최근 1년 내 IoT 전문서적/논문 검색’과 ‘최근 1년 내 IoT관련 행사 참여’는 각각 32.7%, 36.7% 수준으로 나타났다.
IoT 상용화의 필요조건은 개인정보보호 수준과 수용할 수 있는 가격, 실생활 도움 여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킹 위험, 가격 부담, 호환성 저하 등이 IoT 상용화에 대한 우려사항으로는 지적됐다.
IoT 상용화를 위해 갖추어야 할 IoT 서비스의 조건은 ‘철저한 보안(26.7%)’, ‘저렴한 가격(23.3%)’, ‘일상생활 도움(18.7%)’ 순으로 나타났다.
IoT 상용화 시 우려되는 점으로는 ‘해킹 위험(82.0%)’과 함께 ‘가격 부담(56.7%)’, ‘호환성 저하(40.0%)’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IoT 상용화 필요 분야에서 ‘의사 결정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은 비중 차지하였으며, 의료/헬스케어 분야는 ‘원격 서비스’를, 에너지/환경 분야는 ‘자동화에 의한 에너지 소비 효율 증대’를 IoT 상용화의 주요 진행 방향으로 응답했다.
김혜숙 기자 (atid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