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부, 총 21개 차종 24,555대 대상… 자동차 리콜센터를 통해 확인 가능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현대자동차㈜, 만트럭버스코리아㈜, 르노코리아㈜에서 제작·수입·판매한 총 21개 차종 24,555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되어 자발적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갔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리콜은 차량별로 시동 꺼짐, 부품 결함, 안전기준 미충족 등의 사유로 시행되며, 각 제조사는 문제 된 부품이나 소프트웨어에 대한 무상 수리 등을 진행한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총 17,480대를 대상으로 리콜을 실시한다. 이 중 E350, 4MATIC 차량 16,957대는 엔진제어장치(ECU)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있으며, 7월 25일부터 시정조치가 시작됐다. 또한, EQE 350, 4MATIC 등 5개 차종 523대는 고전압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소프트웨어 오류로 유사한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같은 날부터 리콜이 진행 중이다.
현대자동차의 쏠라티 등 2개 차종 5,974대는 휠 고정용 너트의 체결 불량으로 인해 주행 중 너트 풀림 및 휠 이탈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 결함은 운전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으로, 현대차는 7월 31일부터 해당 차량에 대해 시정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만트럭버스코리아는 TGM 카고 등 11개 차종 643대를 대상으로 방향지시등 작동 후 주간주행등(DRL)이 정상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해당 결함은 자동차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사항으로, 오는 8월 11일부터 리콜이 실시될 예정이다.
르노코리아가 판매한 SM6 등 2개 차종 458대는 진공펌프의 제조 불량으로 인해 브레이크 작동 시 제동거리가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 진공펌프는 운전자가 작은 힘으로도 제동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로, 결함 시 교통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이 또한 8월 11일부터 리콜이 시작된다.
차량 소유주는 자동차 리콜센터를 통해 차량번호 또는 차대번호를 입력해 자신의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국민의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제작 결함에 대한 시정조치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며, “차량 소유자께서는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신속히 점검을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