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하노버=김유활 기자] 세계 최대 산업 기술 전시회인 하노버 메세 2025의 사전 간담회가 19일(독일 현지 시간) 독일 하노버에서 열렸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인공지능, 자동화, 친환경 기술이 핵심 의제로 논의되었으며, 글로벌 산업 혁신과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2025년 전시회의 공식 파트너 국가인 캐나다가 참가해 AI 및 스마트 제조, 친환경 기술을 중심으로 한 산업 전략도 발표했다.

AI·자동화, 산업 혁신의 핵심 동력
하노버 메세 2025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주제는 지난해 이어 올해도 인공지능과 자동화 기술을 비롯 이들 기술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집중한다. 제조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AI 기술이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효율성 증대를 이끌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을 선도하는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AI의 산업 적용 사례와 미래 전망을 발표했다.
발표에 나선 LSTM(Long Short-Term Memory) 기술을 개발한 AI 전문가인 제브 호크라이터(Sepp Hochreiter) 교수는 "LSTM 기술이 음성 인식, 자동 번역, 스마트 제조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패티마 쿠처(Fatma Kuser) 알테어 부사장은 "AI 기반 데이터 분석이 공정 최적화와 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제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변화"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AI 기반 예측 유지보수(Predictive Maintenance)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기존에는 기계 고장이 발생한 후 수리를 진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AI를 활용하면 장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고장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여 생산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자율 생산(Self-Optimizing Production) 기술이 발전하면서 AI가 스스로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자동 조정하는 시스템이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로보틱스 어워드 2025도 함께 열렸다. 수상은 Leverage Robotics, Mari Maple Advanced Robotics, Mantis Robotics 등 3개 업체가 받았다.
올해 간담회에서는 굵직굵직한 기업들이 참여해 관련 제품들을 미리 선보였다. 지멘스는 올해 산업용 AI를 적용한 제품들은 대거 선보일 예정이라고 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을 탑재한 제품들을 출시할 것이라고 했다.
프라운호퍼는 지속가능 및 재생 가능 기반의 기술과 프로세스와 어플리케이션 개발 제품 등을 대거 선보인다는 계획이며, 독일 에너지 전문기업인 SFC는 수소 개발 관련 제품과 기술을 내놓을 예정이다. 산업 자동화 및 공장 자동화 전문 기업으로, 특히 공압(Pneumatics) 및 전기 자동화(Electric Automation) 기술 분야 글로벌 톱인 훼스토도 관련 기술을 출품한다.

친환경 기술과 지속가능한 산업 전략
산업계의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하노버 메세 2025는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과 친환경 제조(Sustainable Manufacturing)를 주요 의제 중 하나로 다룬다.
하노버 메세 2025의 올해 파트너 국가로 참여하는 캐나다는 이번 전시회에서 친환경 에너지, 지속가능한 소재, 스마트 제조 기술 등을 중점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며, 간담회에서도 대표적인 친환경 기술을 선보였다.
캐나다 대사관의 대리대사인 Evelyne Coulombe와 PDG CEO인 Jayson Myers는 재생 가능 에너지(Renewable Energy), 탄소 포집 및 활용(Carbon Capture & Utilization, CCU) 부문, 친환경 스마트 팩토리(Green Smart Factory) 등의 분야에서 캐나다 현황을 설명했다.
이들은 올해 전시를 통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기술, 탄소 배출을 줄이고 이를 산업 자원으로 활용하는 기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자원 효율성을 높이는 제조 공정 등에 대한 제품과 관련 기술을 출품한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협력의 장 하노버 메세 2025
하노버 메세 2025에서는 기업 간 협력뿐만 아니라 각국 정부와 연구기관 간 협력도 활발히 이루어질 전망이다. 특히 캐나다와 독일의 산업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유럽연합(EU)과 캐나다 간 자유무역협정(CETA) 발효 이후 양국 간 무역은 증가했으며, 독일은 캐나다의 주요 투자국 중 하나다. 독일 기업들은 전기차 배터리, 생명과학, 농업, 광업, 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캐나다 기업들 역시 독일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하노버 메세 2025는 오는 3월31일부터 4월4일까지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된다. 전 세계 6,500개 이상의 기업과 20만 명 이상의 산업 관계자가 참여하는 최대 규모의 산업 기술 전시회로, AI 기반 제조 혁신, 자동화 시스템, 친환경 에너지 기술 등 최신 연구 결과와 개발 성과가 공개될 예정이다.
하노버 메세 2025, 산업의 미래를 조명
하노버 메세는 그간 산업 기술의 최전선에서 미래 트렌드를 제시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전시회로 자리 잡았다. 매년 전 세계 주요 기업, 연구기관, 정부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전시회에서는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가속화하는 다양한 기술이 집중 조명된다. 특히, AI 및 자동화, 친환경 기술, 스마트 제조(Smart Manufacturing), 지속 가능한 에너지(Sustainable Energy) 등이 주요 주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하노버 메세 2025의 주요 전시 테마는 다음과 같다.
■ AI 및 머신러닝(AI & Machine Learning)=AI 기반 산업 자동화, 스마트 제조, 데이터 분석 기술.
■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공장 자동화, 로봇 기술, 자율 생산 시스템
디지털 트윈 및 스마트 제조(Digital Twin & Smart Manufacturing)=가상 시뮬레이션 및 공정 최적화 기술.
■ 친환경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Green Energy & Sustainability)=탄소중립, 재생 에너지, 지속가능한 제조 기술.
■ 로보틱스 및 협업 자동화(Robotics & Collaborative Automation)=인간과 협업하는 로봇 기술,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
한편, 산업 전문 미디어 기업인 첨단은 국내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DX)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노버 메세 2025 참관 및 DX 산업 시찰단'을 모집한다.
첨단의 이번 프로그램은 2025년 3월30일부터 4월5일까지 5박 7일간 진행되며, 독일 하노버를 포함한 프랑크푸르트, 슈투트가르트, 브라운슈바이크 등 주요 도시를 방문한다.
프로그램은 사전 교육, 전시회 참관, 혁신 기업 탐방, 현지 교육, 네트워킹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참가자들이 이론과 실무를 모두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참가자들은 하노버 메세의 전시회 관람뿐만 아니라 독일 현지의 선도적 DX 기업들을 직접 탐방하며 글로벌 기술 혁신의 흐름을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시찰단 프로그램 사전 등록(참가비 682만원) 기간은 2025년 2월28일이며, 일반 등록(참가비 786만원)은 3월10일까지 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첨단의 헬로티 에듀에서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