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6월 26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산업계, 학계와 지방자치단체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상풍력 산업화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서 제시한 전체 신규 설비용량 48.7GW 중 12GW를 차지하는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큰 그림을 보여주는 자리가 되었다.
백운규 장관은 격려사를 통해 정부가 에너지전환을 선언한 지 1년이 지난 이 시점에, 풍력산업의 성공적 확산을 논의하고 에너지전환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면서 전략산업을 육성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백 장관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12GW 규모의 해상풍력 보급 확대와 연계하여 해상풍력 산업화 촉진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및 일자리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며 “지자체가 발굴‧제안한 입지 위주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고, 지역주도 단지조성 및 조선해양산업 연계 전략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선순환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자부는 해상풍력발전의 단계적 추진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중소규모(~500MW) 해상풍력 보급과, 실적(Track Record) 확보, 풍력산업 공급체계 구축과 조선․해양산업과의 융복합화 전략을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여, 동북아 ‘슈퍼 그리드(Super-Grid)’ 연계 등 차세대 기술혁신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과 해양플랜트 수출 산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해상풍력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 풍력단지 조성, 후 사업자 개발방식’을 통해 사업지연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제거함으로써 민간투자(PF)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산자부는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발굴·제안한 사업에 대해서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추가 부여하는 방안도 논의했으며, 이 경우, 10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운영할 경우 지자체와 지역 주민에게 매년 약 20~30억 원의 추가 혜택이 주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