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딧, 디지털 금융사기 대응 위한 ‘협력적 자율규제’ 필요성 강조

2025.11.26 09:20:16

이창현 기자 atided@hellot.net

 

코딧은 부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이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한 자율규제: 금융범죄 예방에서 포괄적 온라인 안전으로’ 이슈페이퍼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디지털 금융 확산과 함께 증가하는 온라인 금융사기, 불법 금융광고, 피싱 등 신종 금융범죄의 구조를 분석하고, 정부와 민간이 공동 참여하는 협력적 자율규제 모델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디지털 금융 서비스가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인 반면, 범죄조직의 기술 활용이 고도화하면서 기존 정부의 사후규제 중심 대응만으로는 피해 차단이 사실상 어려운 구조가 됐다고 지적했다. 국경을 넘나드는 복합 범죄 생태계가 형성된 상황에서 금융안전성을 확보하려면, 정부의 감독 기능과 플랫폼·기술기업의 위험관리 역량을 결합한 협력적 자율규제(collaborative self-regulation) 체계가 필수라는 분석이다.

 

주요국들도 위험 기반 접근(risk-based approach)을 중심으로 공동규제(co-regulation)를 제도화하고 있다. 영국은 Online Safety Act 2023과 Online Fraud Charter 2023을 통해 플랫폼의 위험관리 의무를 명확히 했으며, 호주는 Scam Code of Practice 2024를 통해 정부기관과 플랫폼 간 실시간 데이터 공유 체계를 운영 중이다.

 

 

싱가포르·일본·독일 등도 플랫폼 책임성을 강화하는 법적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도 광고주 신원 검증, 금융서비스 광고 사전인증(FSV), AI 기반 위험 차단 시스템 등을 도입해 선제적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이슈페이퍼는 이러한 국제적 흐름과 국내 정책 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뒤, 금융사기 대응을 넘어 포괄적 온라인 안전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은 ▲위험 수준별 공동규제 프레임워크 구축 ▲플랫폼의 선제 대응을 유도하는 세이프하버(Safe Harbor) 도입 ▲정부-플랫폼 간 실시간 정보 공유체계 제도화 ▲금융서비스 등록부 데이터 표준화 강화 ▲금융서비스 광고 사전인증제도(FSV) 정착 기반 마련 등 5대 정책 패키지를 제안했다.

 

연구원은 “최근 캄보디아 사태에서 확인됐듯 초국경 디지털 금융범죄는 사후 대응만으로는 피해를 줄이기 어렵다”며 “정부의 감독 권한과 민간의 기술 역량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자율규제가 금융안전성 확보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이 위험 기반 비례적 접근을 바탕으로 국제 수준의 공동규제 모델을 구축한다면, 이용자 보호와 기술혁신이 조화되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신뢰 생태계를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코딧은 AI 기술과 빅데이터 기반의 법·규제·정책 모니터링 솔루션을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을 통해 ESG, AI, 헬스케어·제약, 순환경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입법·정책 동향을 분석한 이슈페이퍼를 발간하고 있다. 또한 국회, 정부, 국책연구기관의 고위 정책 전문가를 초청하는 정기 세미나를 운영해 기업이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