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옵스나우가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전문 솔루션 ‘옵스나우 핀옵스 플러스(OpsNow FinOps Plus)’를 한국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제품은 지난해 미국에 먼저 선보여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에 이어 일본 출시도 예정돼 있다.
국내외 기업들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멀티 클라우드 및 SaaS 환경 속에서, 비용을 통제하는 수준을 넘어 전략적 기술 투자를 주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 역량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비영리 단체인 핀옵스 파운데이션은 2025년 핀옵스 프레임워크를 발표하며 클라우드 및 SaaS, 데이터센터, AI 등 다양한 기술 지출을 포괄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전략 수립과 비즈니스 가치 창출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
옵스나우 핀옵스 플러스는 옵스나우360의 핀옵스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고도화된 구조와 실전 기능을 갖춘 핀옵스 전문 솔루션이다.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예산 수립, 이상 비용 탐지, 정책 기반 거버넌스, 절감 인사이트 도출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해 실행 중심의 핀옵스를 실현할 수 있다.
온보딩이 쉽고 간편할 뿐 아니라 예산 계획부터 절감과 성과 분석까지 일관된 흐름으로 지원되기 때문에 수작업 없이도 비용을 정밀하게 예측, 통제할 수 있으며 전략적 자산 배분과 재무 성과 개선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자원에 태그를 일관되게 적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Tag Manager’를 통해 비용을 서비스·팀·프로젝트 단위로 정교하게 분류하고 파악할 수 있다.
팀·조직 단위의 예산 설정과 실시간 비용을 비교/예측이 가능한 ‘Budgets’, 책임 부서 관점의 비용 정밀 분석을 지원하는 ‘FinOps KPI’, 사전 정의된 규칙 기반으로 정책 위반을 자동 탐지하고 리포트를 제공하는 ‘Policy Management’ 등 최근 핀옵스 프레임워크에서 강조하는 핵심 기능들이 대폭 강화됐다.
또한 옵스나우 핀옵스 플러스 이용자는 자동 비용 최적화 서비스 ‘오토세이빙즈(AutoSavings)’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오토세이빙즈는 사람이 직접 클라우드 약정을 분석하거나 최적 시점을 판단할 필요 없이 AI가 사용 패턴을 분석해 적정한 절감 전략을 자동 실행하는 기능이다.
현재 AWS와 애저(Azure) 환경에서 지원되며 복잡한 조건을 이해하거나 수작업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절감이 자동 적용된다. 일회성이 아닌 반복적 절감 구조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비용 효율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절감이 발생한 경우에만 성과 기반 수수료가 부과돼 리스크 없이 도입 가능하다.
박승우 옵스나우 대표는 “옵스나우 핀옵스 플러스는 급변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기업들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실제 비용 절감까지 실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도화된 솔루션”이라며 “기존 고객들도 옵스나우 핀옵스 플러스를 통해 한층 더 정교한 운영과 강력한 인사이트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