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삼성, LG, SK 등 대기업도 버거운 원자재 및 인건비 상승

URL복사
[무료 웨비나] 진동 신호를 이용한 산업용 모터 및 회전체 설비 AI 예지진단 솔루션 (6/5)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등 모두 인건비와 원자재 비용 상승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상승과 임금인상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주요 기업들의 비용 부담이 작년보다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원가 부담이 커진 가운데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으로 제품 수요까지 둔화되면서 기업들은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는 모습이다. 19일 각 회사가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의 원재료 매입 비용은 총 58조521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1조4482억 원(24.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원재료 중에서는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모바일AP의 가격이 작년보다 58% 상승했고, 카메라 모듈 가격도 약 10% 올랐다. 반도체 원재료인 웨이퍼 가격은 작년보다 4% 상승했다. 생활가전 제품의 주요 원재료인 철판과 플라스틱, 구리 가격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주요 제품 평균 판매가격은 오히려 하락했다. 삼성전자 TV와 메모리 반도체가 작년보다 각각 4%, 0.3% 하락했고 휴대폰은 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삼성전자의 원재료 매입비용은 약 103조7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었는데 지금 추세로는 올해 비용이 작년 기록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원재료비와 함께 기업의 대표적인 비용 항목인 인건비도 대폭 늘었다.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가 지출한 인건비(급여·퇴직급여)는 약 15조9534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조9762억 원(14.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가 올해 평균 9%(기본인상률 5%, 성과인상률 평균 4%)의 임금인상을 시행하고, 작년 호실적에 대한 성과급이 올해 인건비로 반영된 영향이다. 삼성전자의 임직원 수가 작년보다 대폭 늘어난 것도 인건비 증가에 영향을 줬다. 6월 말 기준 삼성전자의 국내 임직원 수는 총 11만7321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6240명 늘어 역대 최대 규모였다.

 

이 같은 비용 증가는 삼성전자 외에도 국내 주요 기업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LG전자가 올해 상반기 원재료 매입에 지출한 금액은 총 20조6590억 원으로, 작년보다 3조1179억 원(17.8%) 증가했다. 생활가전 사업의 주요 원재료인 철강(22.0%)과 플라스틱(20.3%), 구리(40.2%) 등의 가격이 작년보다 대폭 오른 영향이다. 

 

상반기 LG전자의 인건비는 4조9205억 원으로, 임금인상 등의 영향으로 작년 동기보다 9104억 원(22.7%) 증가했다. SK하이닉스는 원재료비와 인건비가 작년 대비 각각 44.4%, 45.4% 증가했고 LG에너지솔루션은 각각 31.1%, 35.2%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의 비용 지출은 매출 성장에 따라 늘어날 수 있지만,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상승으로 비용 부담이 커진 것은 사실"이라며 "판매가 정상화와 운영 효율화를 통해 비용상승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