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AI 주권은 시간과의 경쟁“ 정부·민간 기업 한 목소리 냈다

URL복사

 

엔비디아, AMD, 오픈AI 등 글로벌 AI 기업 및 국내 기업 참여해 인사이트 공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2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AI 글로벌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국가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및 독자적 모델 경쟁력 확보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엔비디아, AMD, 오픈AI 등 세계 주요 AI 기업은 물론,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리벨리온, 업스테이지 등 국내 기술기업까지 참여해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실질적 협력 구도를 예고했다.


행사 서두에는 엔비디아와 AMD의 고위 관계자들이 차례로 기조발언을 전하며 AI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소영 엔비디아 코리아 대표는 “AI 모델의 성능은 이제 단순 학습을 넘어서 추론과 실제 서비스 단계에서도 고성능 컴퓨팅이 핵심”이라며, 컴퓨팅 자원의 다층적 역할을 언급했다. 그는 “한때 한국은 일본보다 엔비디아 GPU 수요가 컸지만, 현재는 상황이 역전됐다”고 덧붙이며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을 언급했다.

 

AMD 측에서는 수석 부사장 키스 스트리어와 CEO 리사 수가 영상을 통해 메시지를 전했다. 스트리어는 “AI 주권 확보는 에너지 자립만큼 중요하며, 이는 국가 간 경쟁이 아닌 시간과의 경쟁”이라며, 소버린 AI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리사 수 CEO는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개방형 생태계와 지속 가능성을 반영한 국가 AI 전략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오픈AI의 최고전략책임자(CSO) 제이슨 권도 영상 기조연설을 통해 “AI 모델 고도화를 위해선 강력한 컴퓨팅 인프라가 필수”라고 말하며, “한국의 산업은행, 카카오, 스타트업들과의 협력은 오픈AI의 글로벌 전략에서 중요한 위치”라고 밝혔다.


이어 과기정통부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은 정부의 '국가대표 거대언어모델(WBL)'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국가 AI 컴퓨팅 센터의 GPU 자원과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계 수준의 AI 모델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AI 석학과 연구진의 인건비도 직접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담 AI 정예팀을 꾸릴 방침이다.

 

유영상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컴퓨팅 인프라는 AI의 뼈와 근육, AI 모델은 두뇌”라며, “이 둘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한국이 글로벌 AI 리더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염재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은 “국내 AI 기술력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오늘 콘퍼런스에 주요 기업들이 직접 참여한 것 자체가 그 가능성을 방증한다”고 덧붙였다. 


오후에 열린 2부 세션은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AI 모델 및 서비스라는 세 가지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람다, 텐서웨이브, 트웰브랩스, LG AI연구원, 업스테이지, 네이버클라우드 등 다양한 기업이 기술 발표를 이어갔다.

 

특히 이동수 네이버클라우드 이사는 발표를 통해 “AI 서비스 제공업체와 AI 칩 공급업체 간의 이해 부족이 여전하다”며, “AI 컴퓨팅 인프라와 모델·서비스 간 긴밀한 커뮤니케이션과 협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