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는 30일 '2023년 예산안'을 발표하고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4조6000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4조6000억원 중 3조6000억원은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혁신을 지원하는 데 쓰인다. 우선 민간에서 경쟁력과 시장성을 인정받아 투자를 받은 유망 벤처·창업기업에 대한 지원 예산을 올해보다 1000억원 증액한 4000억원으로 편성했다. 이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의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팁스(TIPS) 지원 대상도 500곳에서 720곳으로 늘어난다.
국내 벤처기업과 글로벌 기업·대기업의 협력을 지원하는 데는 올해보다 155억원 늘어난 501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또 우수 중소기업에는 신성장 자금을 총 1조7000억원 공급하고 규제혁신과 제조환경 스마트화, 지식재산권 보호 등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 중소기업의 성장단계와 협업 종류에 맞춘 연구개발(R&D) 지원 예산을 올해 6000억원에서 내년 7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물류 인프라도 신설한다.
정부는 아울러 소상공인의 '완전한 회복'과 재기를 지원하는데 1조원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소상공인 대상 채무조정 프로그램 추진에 3000억원을 투입한다. 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경영개선과 폐업, 재취업(창업)을 지원하는 '희망리턴패키지' 지원 대상을 올해 2만9000명에서 내년 3만4000명으로 확대한다.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지원과 스마트화에도 2000억원을 지원하고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과 지역상권 활성화에는 총 844억원을 투입한다. 혁신형 창업 지원 대상은 올해 500곳에서 내년 575곳으로 확대하고 체험점포를 창업지원 플랫폼으로 순차 개편하는데는 199억원을 지원한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