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디지털라이프

배너

“인공관절 부분치환...무릎 관절 구조물 위치 고려해야”

URL복사
[무료 웨비나] 미래의 자동차 조명을 재조명하다: Analog Devices의 혁신적인 솔루션 (5/29)

퇴행성 관절염은 특별한 외상이 없음에도 관절이 붓고 아픈 증상이 따르는 질환이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무릎 관절을 토대로 손, 발목, 어깨관절 등에서도 얼마든지 증상이 발현될 수 있으며,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연골 부위는 한번 손상이 진행되면 자체적인 재생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주로 65세 이상 노령층에서 찾기 쉬운데, 부상, 과체중, 외부 충격 등을 원인으로 젊은 층에서도 발생한다.

 


이들 전문의는 “치료는 관절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고 추가 손상을 방지하는데 중점을 둔다. 초기와 중기에는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도 증상 호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만으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연골이 모두 닳아 없어진 상태로 더 이상의 치료 효과를 보기 어려울 때는 인공관절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공관절수술은 손상된 연골을 제거하고 인공관절을 삽입하는데, 관절 전체가 손상된 경우가 아니라면 부분 치환술로 건강한 관절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부분 치환술은 관절 기능을 보존할 수 있고, 관절 운동의 각도가 좋은 것이 장점이며 절개와 출혈도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회복도 빠른 편”이라며 “무릎 관절을 구조물들의 원래 위치를 파악하고 환자의 관절 기능 향상을 위해선 정밀한 검사를 통해 위치를 설정해 수술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그는 “무릎 관절을 구성하는 구조물들의 위치는 관절의 기능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대퇴골 중심에서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3mm, 5mm 이동된 5개 모델을 보행 하중 조건에서 분석하면 대퇴골 끝부분의 중심에 부분인공관절을 삽입할수록 치료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분 인공관절 수술은 내측 인대의 기능이 정상이고 무릎 관절의 굴곡이 90도 이상이어야 고려해볼 수 있다.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밀한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면서 “수술 후 인공관절 수명 연장과 관절염 예방을 위해 규칙적인 운동을 진행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