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통증을 단순히 삐끗했다 생각하고 일상생활을 지속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발목 부담이 가중돼 퇴행성 발목관절염이나 만성 발목관절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골절이나 인대, 연골손상 여부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게 바람직하다.
흔히 ‘발목이 삐었다’고 하는 발목염좌는 발목을 구성하는 인대가 늘어났거나 찢어져 손상된 상태다. 내측인대 염좌와 외측인대 염좌로 분류할 수 있는데, 주로 외측인대 손상이 많다. 발목이 안쪽으로 접질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 발목을 접질리고 나서 6개월이 지난 후에도 울퉁불퉁한 길을 걸을 때 발목에 힘이 빠지거나 발목이 자주 꺾인다면 만성 발목불안정증을 의심할 필요가 있으며, 발목을 상하좌우로 돌릴 때 시큰하거나 뻐근하고, 삐었던 발만으로는 땅바닥을 딛고 서 있기 어려운 경우도 마찬가지다.
하이병원 윤석준 원장은 “만성으로 의심되는 경우 의사의 신체진찰과 환자의 임상 증상을 체크하고 스트레스 부하 X-레이를 등을 통해 진단을 내리게 된다. 자기공명영상(MRI)과 초음파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다. 치료는 인대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발목 인대를 구성하는 섬유의 일부가 늘어나거나 미세하게 찢어진 1도 염좌는 대부분 하루 정도 지나면 부기가 가라앉고, 일상생활에도 큰 불편함이 없다. 과격한 신체 활동을 피하고 2주 가량 발목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발목 외측인대가 부분적으로 찢어진 상태인 2도 염좌는 발목이 붓고 피멍이 생기며, 통증을 동반한다. 발목 탄력보호대나 발목보조기 착용이 필요하고 균형감각 회복운동, 발목근력 강화운동 등의 기능적 운동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운동치료로 상태가 호전되지 않거나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 방법에는 인대 봉합술과 인대 재건술이 있다.
윤석준 원장은 “발목 염좌 초기에는 발목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2~3주간 깁스나 발목 보호대 등을 착용하는 등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고 발목에 부기가 있는 경우, 냉찜질을 하면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고 소염제, 물리치료도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발목 염좌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체중 조절, 활동에 적합한 신발 착용, 보조기 착용, 꾸준한 운동치료 등이 도움이 된다. 꾸준한 발목 근력 강화 운동, 아킬레스건 스트레칭, 운동 전의 준비운동을 통해 재발의 위험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평소 틈틈이 발목을 돌려주고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는 반드시 10분 이상 스트레칭을 통해 긴장을 풀어주는 게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발목이 잘 꺾이는 높은 신발은 가급적 피하는 게 좋으며 발꿈치를 충분히 감싸는 신발을 착용하는 게 발목 보호에 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