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디지털라이프

배너

겨울 스포츠와 십자인대 파열...예방법은?

URL복사

겨울철에는 가족, 친구들과 함께 스키, 스노보드, 스케이트 등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경우가 많은데 점프 후 착지,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또는 정지하는 상황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 등 부상이 일어나기 쉽다.


전문가들은 그래서 사전에 준비운동을 반드시 챙기라고 주문한다. 몸이 제대로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운동하다 보면 자칫 부상에 노출될 우려가 높으며 특히 스키나 스노우보드는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체와 무릎을 움직이는 동작이 많아 십자인대파열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는 설명이다.

 


십자인대는 허벅지뼈와 종아리뼈를 이어주는 조직으로 양쪽 무릎 관절 한가운데에 위치한다.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방십자인대는 관절 안정성에 기여한다. 이 부위의 손상은 대부분 비틀림, 감속 손상 등 비접촉성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


일부 환자들의 경우 접촉성 외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다른 구조물의 동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이 대표적이다. 인대 파열을 조기 진단하지 못할 경우 관절 불안정성과 주위 조직의 동반 손상, 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이상징후가 느껴지면 바로 병원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일반적으로 무릎이 흔들리거나 빠지는 듯한 증상이 느껴진다. 무릎에서 ‘뚝’소리가 나며 인대가 끊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관절 안에 출혈과 종창으로 통증이 생겨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부분 파열을 방치할 경우 무릎 관절 내 다른 부위에도 손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후방십자인대 파열의 경우 증상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


하이병원 윤석준 원장은 “최선의 치료는 예방이다. 재건술을 시행한다고 해도 파열 이전의 상태로 100% 돌아가기는 어렵기 때문”이라며 “운동 능력의 계발과 함께 근력을 키우기 위해 계단 오르기, 스쿼트, 앉는 자세에서 다리 들어 올리기 등 평상시에 할 수 있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증상 발생시 움직이거나 걷지 말고 안정을 취하면서 냉찜질을 해주고 가능한 빨리 병원을 방문해 필요한 검사와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부상을 방치할 경우 퇴행성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파열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며 “고령의 환자의 경우에는 약물 및 물리치료, 보조기 사용 등으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젊은 환자들의 경우에는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소견과 이로 인한 불안정성이 있을 경우 관절내시경을 통해 인대를 이식하는 재건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