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한화, 인공위성 핵심 부품 국산화 개발 나선다

항공우주연구원과 저장성 이원추진제 추력기 개발

URL복사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한화는 해외에서 수입하던 인공위성 핵심 부품인 '저장성 이원추진제 추력기'를 국산화한다고 28일 밝혔다. 

 

 

한화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과 2025년까지 80억 원을 투입해 저장성 이원추진제 추력기를 함께 개발하기로 했다.

 

추력기는 인공위성의 궤도 수정, 자세 제어 등을 담당한다. 위성의 수명과 직결돼 인공위성의 심장이라 불린다. 인공위성은 지구 중력, 다른 행성의 인력 등으로 운항에 방해를 받는데 추력기가 작동해 궤도와 자세를 바로잡는다.

 

그동안 정지궤도위성에 적용된 이원추진제 추력기는 전량 독일 등 해외 기업 제품에 의존해왔다. 이번에 한화와 항우연이 개발에 나선 추력기는 정지궤도위성이 더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저장성 이원추진제' 시스템을 적용한다.

   

정지궤도위성은 발사체에서 분리 후 임무 궤도까지 자체 추력으로 올라가야 하고, 15년 이상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 작동해야 한다.

   

이원추진제는 연료와 산화제를 각기 다른 탱크에 저장하는 이원화 방식으로 연료량 조절이 가능해 효율성이 높고, 많은 연료를 장기간 저장할 수 있다. 

 

한화 방산부문 김승모 대표이사는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를 앞두고 100% 해외에 의존하던 핵심 기술을 국산화한다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항우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의 첨단 우주 부품 국산화 프로젝트인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추력기 개발 사업은 올해 시작하는 10개 과제 중 하나다. 

 

한편, 한화는 1990년대 중반부터 위성 단일추진제 추력기를 생산하며 기술력을 쌓아왔다. 납품된 추력기는 다목적실용위성, 차세대중형위성 등에 장착돼 현재도 우주에서 임무를 수행 중이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