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한국광기술원, 에니트와 손잡고 광센서&AI 접목한 경계감시 광센서 시스템 개발

발전소, 철도시설, 송유관 등 국가 주요 인프라 및 보안시설 등에 활용 전망

URL복사
[무료 등록] 최신 AI MCU 개발 트렌드와 함께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응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5/14, 코트야드 판교호텔 8층)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광기술원과 에니트가 광센서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경계감시용 광센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발전소, 철도시설, 송유관 등 국가 주요 인프라와 보안시설 등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보안용 CCTV나 적외선 영상시스템은 사각지대나 낮은 해상도로 인해 감시범위가 좁고, 상시 모니터링 요원이 지켜봐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전자기파센서 및 압전센서 등은 침입체에 대한 정보 분석이 어렵고, 바람이나 낙엽 등에 의한 오경보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광기술원 광정밀계측연구센터와 에니트가 공동으로 개발에 성공한 해당 기술은 수 km 이상 길이의 광섬유를 경계망에 설치해, 주변의 진동 때문에 달라지는 이상신호를 1m 정도의 정밀도로 수집한 실시간 정보로 3D 분포도를 만든 후, 딥러닝 방식의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해 침입여부와 침입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국광기술원 측은 기술을 활용하면 침입체 규명과 침입체의 진행방향, 속력, 규모 등도 판별해 낼 수 있으며, 수십 km 이상 넓은 범위에서 경계감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광케이블이 센서와 신호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센서 운영을 위한 전력소비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번에 개발한 경계감시 광센서 시스템은 지중 매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침입자가 경계감시망을 사전에 무력화하기 어렵고, 바람이나 낙엽 등 외부환경에 의한 오작동이나 오경보를 대폭 낮출 수 있다.

 

해당 기술은 원전, 항만, 공항, 군시설 등 국가 보안시설에 대한 무인경계감시를 비롯해 송유관, 열배관, 가스관, 데이터전송케이블 등 민간 중요자산에 대한 외부경계감시 등에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명진 한국광기술원 센터장은 “이번 인공지능 기반 경계감시 광센서 시스템 국산화는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이고 해외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최근 주목받는 인공지능을 광기술에 접목하는 기술개발에 집중하여 신시장 진출을 위한 광융합 제품 생태계 활성화와 기업 제품화 지원에 더욱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