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의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봄철에는 신체 부상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특히 무릎은 부상이 발생할 확률이 비교적 높은 신체 부위로 무릎 부상 중에서도 무릎 관절 사이에 있는 반월상 연골의 파열을 조심해야 한다. 반월상 연골 파열은 직업적으로 하체를 많이 쓰거나 과격한 스포츠 활동을 자주 하는 사람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는 원인은 다양하다. 젊은 연령대에서는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 등의 부상이 주요 원인이다. 그렇지만 중장년층 이상에서는 퇴행성 변화로 약화된 반월상 연골이 서서히 파열되는 경우가 증가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반월상 연골은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과 같은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반월상 연골에 파열이 발생하면 스스로 재생하는 것이 어렵고, 파열을 방치할 경우 파열 범위가 확대되면서 증상을 악화시키게 되니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범 원장은 이어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경미하다면 약물치료 및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을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심한 파열은 파열된 부위를 봉합하거나 파열된 연골 조각을 잘라내고 다듬는 수술이 필요하다”며 “많은 양의 연골을 잘라낸다면 무릎 퇴행성관절염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병변 부위만을 잘라내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반월상 연골 파열을 장기간 방치하여 남아있는 연골이 거의 없다면 연골을 이식하는 이식술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의 증상에는 무릎 통증 및 부종, 무릎 잠김 현상, 무력감 등이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증상이 지속된다면 반월상 연골 파열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아 정확하게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반월상 연골의 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격한 활동은 자제하고 무릎에 무리가 가는 행동 역시 조심해야 한다. 특히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꿇는 자세는 무릎 관절에 큰 부담을 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