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기획특집

배너

[신재생에너지! 지자체가 이룬다] 서울시, 정공법으로 신재생에너지 수도(首都) 자리 노려

URL복사
[#강추 웨비나] 제조 산업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웨비나 시리즈 Autodesk 올인원 제조솔루션 Fusion 활용하기 - 1편: Fusion 소개 및 모델링 활용하기 (7/10)

[첨단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생존게임이다. 오염물질을 줄이지 못하면 모두가 죽는다. 어벤져스에 나왔던 타노스는 인류의 절반이라도 살려줬지만, 지구온난화는 그마저의 자비도 없다. 화석연료를 재활용하거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지구온난화와의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세계 각 국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우리 정부와 지자체도 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과 계획을 발표하며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번 기획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지자체의 활동을 조명했다. -편집자 주-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서울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해 시설 증축, 주민 참여 확대, 제도 변경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시는 올해 초 하수처리시설을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탈바꿈시킬 계획을 세우며 주목을 받았다. 또, 현재 신재생에너지 건설의 제한적인 요소로 꼽히는 주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사업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저해하는 지침을 변경하는 사업 등을 병행하며 한국의 수도로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모범이 되고 있다는 평이다.

 

하수처리시설,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새로 태어난다


서울시는 세계 최초로 4개 물재생센터(하수처리시설)를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배출이 없는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탈바꿈시킨다고 밝혔다.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와 수소기술을 융합·발전해 에너지 선순환을 이끌어내겠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지난 1월, 에스코, 코원에너지서비스, 서울도시가스공사와 ‘서울특별시 물재생센터 신재생에너지 환상망구축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시는 오는 2035년까지 4개 물재생센터에 바이오가스 수소연료전지를 총 180MW 규모로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중랑 50MW, 서남 60MW, 난지 30MW, 탄천 40MW 등으로 구성된다. 올해 중랑물재생센터부터 시범사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사업의 핵심은 180MW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를 설치해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와 수소기술을 융합·발전시키는 ‘신재생에너지 환상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여기서 환상망은 바이오가스를 버리지 않고, 순환시켜 재사용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이 환상망이 구축되면 38만 세대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과 8만 세대에 공급 가능한 열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전혀 없어, 연간 37만6577t의 온실가스와 1만7461t의 대기오염물질을 감축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연료전지 자체의 공기정화기능으로 매일 219만 명이 호흡할 수 있는 분량의 깨끗한 공기도 생산된다. 수소차 60만 대를 운영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다. 또 운영비 절감과 전력생산비용 등을 통해 연간 2815억 원의 경제적 가치 창출과, 약 6500명의 고용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가 4개 물재생센터를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배출이 없는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로 탈바꿈시킨다고 밝혔다. (사진 : 서울시)

 

주민 참여형 사업으로 신재생에너지 이미지 UP


서울시는 올해 주민 참여형 태양광 사업에 박차를 가하는 분위기다.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있어 관련 업체들이 가장 어렵다고 토로한 분야가 바로 주민 협력이다. 태양광이나 풍력 시설이 혐오시설로 여겨질 수 있어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힘들어서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해 주민 참여를 계속 강조하는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서울시는 지난 10일, 마곡지구에 주민 참여형 ‘플러스에너지 타운’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마곡지구 ‘플러스에너지 타운’은 주민이 에너지 생산 및 절감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에너지 자립도시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주민 참여형 수요반응 도입 ▲태양광 공동 발전소 구축 ▲실시간 에너지 통합 플랫폼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서울시와 한국에너지공단 서울지역본부에서 공동으로 기획·발굴했다. 또, 에너지 통합플랫폼 구축과 태양광 발전시솔 시공 경험이 풍부한 민간기업 2개사가 함께 참여했다. 서울시는 이 사업에 올해 연말까지 총 4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또, 서울시는 ‘2020년 시민실천 에너지절약 공모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시민실천 에너지절약 공모사업은 시민들의 생활 속에서 실천하고 정착시키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는 사업이다.


지난해에는 총 43개 단체가 참여했다. 또, 1163회의 교육·캠페인을 통해 시민 10만여 명이 참여해 2794명의 시민이 에코마일리지에 가입하는 성과도 냈다.


서울시는 올해 시민실천 에너지절약 공모사업에 참여·선정되는 단체에 최대 5000만 원 이상, 3인 이상 시민모임에는 최대 1000만 원을 지원한다. 총 지원 예산은 약 4억 원이다.

 

신재생에너지 지원 제도 팍팍!


서울시는 3월 26일, 미리 개정 고시한 ‘서울시 신재생 에너지 생산량 산정 지침’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연면적 3000㎡ 이상 건물을 신축할 경우 의무화된 신재생에너지 설치가능 설비에 ‘고체산화물형(SOFC) 연료전지’가 추가되고, ▲태양전지를 건물 외장재로 사용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도 다양한 디자인과 유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서울시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 중이지만 그동안 관련 제도가 미비해 실제 현장에 적용되지 못하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번에 설치기준을 마련했다.


SOFC 연료전지는 고체를 이용한 연료전지로 기존 방식보다 발전효율이 10% 높은 차세대 연료전지지만 건물에 설치하기 위한 제도가 미비해 관련 업체들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 지침 개정으로 서울시내 민간 신축 건물에 설치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서울시는 신제품인 SOFC의 신뢰성 확보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정부 R&D 사업 실증 장소로 서울물연구원 건물 내 유휴 공간을 제공하고 지난해 11월부터 SOFC를 가동하고 있다.

 

 

▲서울시는 발전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수정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BIPV는 지금까지는 발전효율로만 신재생 의무이행여부를 평가해, 발전효율이 높지만 투박한 외관의 일반 결정형 BIPV가 주로 설치됐다. 이번 개정 지침에는 설치면적 산정기준을 신설해 다양한 BIPV가 보급 가능하도록 했다.


지금까지는 서울시의 신축 건물 신재생 설치기준을 이행하기 위해 발전효율 산정 기준 시, 일반 결정형 BIPV 1장을 설치할 때 효율이 낮은 디자인 특화 BIPV는 3장을 설치해야 했다. 앞으로 개정된 설치면적 산정 기준에 따라 어떤 BIPV든 같은 설치 면적이면 동일 실적으로 인정된다.


올해 시는 신기술·디자인형 BIPV 설치 건물에 우선적으로 최대 80%의 설치보조금을 지급해 보다 빠르게 다양한 BIPV 시장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김호성 서울시 녹색에너지과장은 “신재생에너지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해줄 제도적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라며 “이번 지침 개정을 통해 국내 첨단 신재생에너지산업 안착에 기여하고 건물 온실가스 배출제로를 달성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