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발목인대파열, 방치하다 연골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URL복사

일상생활을 하면서 흔하게 발생하는 발목염좌는 고정 및 안정, 냉찜질 등의 대처로 회복이 가능하다. 가벼운 발목염좌라 하더라도 초기 대처가 미흡하면 만성발목불안정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발목인대파열이 발생하면 통증 및 부종, 멍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통증으로 보행이 어렵다면 발목인대파열을 의심하고 병원에서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야 한다. 발목인대파열이 경미하다면 고정 및 물리치료, 주사요법 등으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인대의 많은 부분에 파열이 발생했거나 인대가 완전히 끊어졌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에는 발목인대 상태에 따라 파열된 인대를 봉합하거나 재건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발목염좌 후 통증으로 보행이 어려울 정도라면 심각한 상태를 인지하고 병원을 찾게 된다. 그렇지만 가벼운 발목염좌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다가 만성발목불안정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만성발목불안정증은 염좌로 인해 늘어난 발목인대가 인대가 탄력을 잃어 발목 관절을 탄탄하게 잡아주지 못하면서 발생한다. 잦은 염좌는 결국 연골손상으로 이어지게 되니 초기에 치료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또 “발목인대파열 수술 후에는 관절에 경직이 발생하지 않도록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손실된 근력을 회복하여 발목의 불안성을 회복시켜야 하며 특히 비골근 근육을 강화시는 것이 발목염좌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발목인대파열을 방지하게 위해서는 운동 전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고, 과격한 운동은 제한해야 한다. 또한 발목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착용하고, 굽이 높은 신발은 피하는 것이 좋다.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