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1인 1 AI시대' 선포한 뤼튼 3.0, 생활형 AI로 일상 파고든다

URL복사

 

‘생활형 AI’ ‘1인 1AI’ ‘소득 창출형 AI 서비스’에 초점 맞춰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는 8일인 오늘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자사의 차세대 인공지능 서비스 ‘뤼튼 3.0’을 공개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이세영 대표를 비롯해 이동재 CPO, 제성원 컴패니언 서비스 파트장, 박민준 컴패니언 AI 파트장, 공혜진 AD비즈 파트장 등이 참석해 각자의 분야에서 준비한 혁신을 발표했다. 이날의 키워드는 단연 ‘생활형 AI’와 ‘1인 1AI’, 그리고 ‘소득 창출형 AI 서비스’였다.

 

뤼튼은 기존 생성형 AI를 넘어, 사용자의 일상 속에 깊이 스며드는 맞춤형 AI를 표방하며, AI와 감정적으로 교류하는 ‘EQ 레이어’를 강조했다. 특히 AI 서포터 개념은 단순한 기능 제공을 넘어 사용자의 선호, 말투, 정보 기억까지 반영해 하나의 페르소나로 발전시킨 것이 특징이다.

 

뤼튼의 도전은 단순한 기술 업그레이드를 넘어선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세영 대표는 “AI는 더 이상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다. 생활 속에서 누구나 쉽게 쓸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한 AI 서포터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재정비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뤼튼 3.0은 사용자의 말투, 외형 선호도, 관심사를 반영한 맞춤형 AI를 기본으로 제공한다.

 

이동재 CPO는 “기존 생성형 AI는 어렵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뤼튼은 모든 사용자가 별도 학습 없이 바로 쓸 수 있게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뤼튼의 페르소나는 휘발되지 않는다. 우리는 1인 1AI 서비스에 진심이기 때문이다. 신속한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최신 모델을 제공하며, 유저에 대한 이해를 입체적으로 함으로써 개인을 위한 AI가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재성원 파트장은 AI 서포터의 핵심이 감정적 연결이라고 강조했다. 서포터는 유저의 정보를 장기 기억하고, 일상 대화나 업무에 따라 적절히 반응하며, 점점 더 나를 이해하는 AI로 진화한다. 이는 영화 ‘허(Her)의 사만다’나 ‘아이언맨의 자비스’처럼 사용자가 AI에게 애착을 느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됐다. 20대 여성에게는 귀엽고 밝은 서포터가, 60대 사용자에게는 친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화법을 사용하는 서포터가 제공된다. 뤼튼은 이를 통해 사용자 간의 AI 경험을 획일화하지 않고, 각자의 삶에 맞춘 AI 일상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뤼튼 3.0의 핵심 기술력은 알아서 해주는 AI에 집약된다. 단순한 명령 수행을 넘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먼저 행동하는 AI를 지향한다. 박민준 파트장은 “이번 개편은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의 진화, 검색 시스템의 자율화, 그리고 도구 추천 자동화가 핵심”이라며 기술의 전환점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제 본 영화에 대해 블로그 글을 쓰고 싶다’는 의도를 비추는 대화를 나누면, 서포터는 관련 도구를 자동 추천하고 필요한 정보를 검색해 즉시 글 작성을 도와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LM 오케스트레이션 기반 위에 구현됐다. 이는 사용자의 취향, 메모리, 대화 패턴 등을 바탕으로 적절한 AI 모델 조합을 실시간으로 구성하는 기능이다. 박민준 파트장은 “단순히 최신 모델을 붙이는 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적합한 모델을 섞어 가장 최적화한 응답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유저가 입력하지 않아도, AI가 먼저 상황을 파악하고 자연스럽게 반응하는 경험이 가능해진 것이다.

 

 

검색 엔진도 개편됐다. 단순한 웹 검색을 넘어, 뤼튼은 자체적인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해 실시간성, 정확성, 지역 기반 정보를 강화했다. 이 결과 단순히 검색어 결과 나열이 아닌, 사용자 맞춤형 정보 큐레이션이 가능해졌다. 특히 기존 검색보다 빠르고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탐색 효율을 크게 끌어올렸다.

 

기술적 차별화는 추천 시스템과 메모리 시스템의 융합을 통해 정교해졌다. 추천은 전통 머신러닝 모델과 LLM 기반 에이전트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 메모리는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의 이중 구조로 구성된다. 유저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정보는 코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를 바탕으로 AI는 유저의 행동을 더욱 정밀하게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이날 공개된 뤼튼 3.0을 활용한 AI 재테크도 관심을 받았다. 공혜진 파트장은 발표에서 효율을 넘어 수익까지 제공하는 혜택 기능에 대해 다뤘다. 공혜진 파트장은 "뤼튼 3.0은 낯선 AI 서비스에서 사용자에 익숙한 경험을 유도하고 AI를 이용할 가치 체감 기회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수익 창출 동기를 부여하는 혜택 기능으로 AI 대중화를 이룰 것이다"고 말했다. 향후 뤼튼은 AI 이용 과정에서 미션을 수행하며 획득한 캐시를 계좌 연동, 체크 카드, 커머스 연결까지 확대 적용함으로써 일상과 밀착한 서비스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이세영 대표는 이달 중순 전 세계에 공개 예정인 AI 개발 프레임워크 ‘Agentica’와 프론트·UI 자동화 개발 도구 ‘AutoView’ 티저 영상도 공개됐다. 뤼튼은 Agentica와 AutoView를 오픈소스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AI 이용 대중화를 넘어 AI 개발 대중화 시대까지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