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점유율 소폭 감소에도 1위, 키옥시아는 2위, SK하이닉스 3위에 올라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 여파로 올해 3분기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낸드플래시 매출이 전분기보다 24%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4분기 글로벌 낸드플래시 매출도 전분기보다 20%가량 하락할 전망이다. 24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3분기 D램 매출은 2분기보다 24.3% 감소한 137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트렌드포스는 "소비자 가전과 서버를 포함한 최종 제품 출하량이 기대치를 밑돌았다"며 "전체 낸드플래시 평균판매단가(ASP)는 전분기 대비 18.3%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업체별로 보면 업계 1위 삼성전자의 3분기 매출은 43억 달러로, 전분기보다 28.1% 감소했다. 시장 점유율도 33.0%에서 31.4%로 1.6%포인트 하락했다.
SK하이닉스(자회사 솔리다임 포함)의 3분기 매출은 전분기보다 29.8% 감소한 25억4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시장점유율도 19.9%에서 18.5%로 하락하면서 순위는 2위에서 3위로 밀려났다. 일본 키옥시아의 시장점유율은 2분기 15.6%에서 3분기 20.6%로 5%p 상승했다. 이로써 키옥시아는 SK 하이닉스를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
트렌드포스는 "4분기로 넘어가면서 삼성전자를 제외한 대부분 낸드플래시 공급업체가 생산량을 계획하는 데 더 신중할 것"이라며 "공급-수요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공급업체는 웨이퍼 투입을 줄이는 등 조처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연말 수요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고 재고가 쌓이고 있다며 4분기 낸드플래시 제품 가격은 전분기보다 20∼25%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4분기 글로벌 낸드플래시 매출은 전분기보다 20% 하락할 것으로 트렌드포스는 전망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