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대기업의 재고자산이 작년 동기보다 50%가량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에너지, 석유화학, 철강, IT 전기·전자 업종은 재고가 6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매출기준 상위 500대 기업 중 올해 반기보고서에서 재고자산을 공시하고 작년 상반기와 비교 가능한 192개 기업의 재고자산 변동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분석 결과 올해 상반기 이들 기업의 재고자산은 총 147조6237억원으로 작년 동기(98조6661억원)보다 49.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 업종의 재고가 가장 많이 늘었다. 상반기 석유화학 업종 26개 기업의 재고자산은 작년 상반기(16조5770억원)보다 71.0% 늘어난 28조3531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업별로 살펴보면 SK이노베이션의 윤활유 사업 계열사 SK루브리컨츠의 경우 재고자산이 작년 상반기 2414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6523억원으로 170.3% 증가했다. 이어 증가율 기준으로 SK이노베이션(2조8087억→5조5670억원·98.2%↑), GS칼텍스(1조962억→1조9063억원·73.9%↑), LG화학(3조8738억→6조6872억원·72.6%↑)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재고자산이 급증한 것은 기업들이 원자재 가격 상승을 예상하고 미리 구매를 늘렸지만, 수요가 예상을 밑돌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IT 서비스와 에너지 업종(각각 70.9%↑)의 재고자산 증가율도 70%를 웃돌았다. 포스코인터내셔널, LX인터내셔널, GS글로벌 등 상사들의 재고도 증가했다.
상사 업종 주요 5개 기업의 재고자산은 지난해 상반기 3조4980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5조8500억원으로 67.2% 증가했다.
포스코홀딩스와 현대제철 등 철강 업종 11개 사의 올해 상반기 재고는 14조134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8조5050억원) 보다 66.2% 늘어난 것이다.
IT 전기·전자 업종 21개 기업의 올해 상반기 재고자산은 작년 동기(31조3973억원)보다 60.8% 늘어난 50조4789억원을 기록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