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목표, 다른 전략’ 배터리 3사의 우선순위 알아보기

2022.05.11 16:29:01

서재창 기자 eled@hellot.net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의 생산 차질 여파로 전기차용 배터리 출하량도 줄어들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올해 1분기에 만족스러운 실적을 얻지 못할 전망이다. 다만 업체별로는 다소 희비가 엇갈린다. 배터리 3사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부진한 성적표를, 삼성SDI는 양호한 성적표를 각각 받아들 것으로 보인다. 


엇갈린 배터리 3사 1분기 성적표는?

 

업계에 따르면, 연합인포맥스를 통해 최근 한 달간 전망치 평균을 분석한 결과 LG에너지솔루션의 1분기 예상 매출액은 4조3530억 원, 영업이익은 2589억 원을 기록했다. 작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 증가한 수준이지만,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3412억 원)와 비교해 1000억 원가량 차이가 났다. 

 

자동차용 반도체 부족 사태 장기화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심화 등으로 완성차 생산에 차질이 발생했고, 이에 따라 배터리 출하도 부진해진 것이 주요 요인이다. 또한, 최근 가파르게 상승한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도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다만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에 공급하는 원통형 배터리 출하량은 시장 예상치보다 증가했고, 부진했던 파우치형 배터리 실적은 일부 만회된 것으로 분석됐다. LG에너지솔루션의 지난해 연간 매출은 17조8519억 원, 영업이익은 7685억 원이었다.

 

최근 미국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총 4조8000억 원 규모의 배터리 합작공장 투자 계획을 발표한 LG에너지솔루션은 제너럴모터스(GM) 합작공장과 미국·폴란드·중국·국내 단독공장을 기반으로 2025년까지 총 447GWh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국내 배터리 3사 중 유일하게 아직 흑자전환을 하지 못한 SK온은 올해 1분기에도 1000억 원 중반 수준의 영업손실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3100억 원)보다 적자 규모가 줄겠지만, 글로벌 공장 초기 가동비용 등의 영향으로 적자 행진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SK온의 모회사 SK이노베이션 김준 부회장은 최근 주주총회에서 올해 4분기에 분기 기준으로 첫 흑자 전환에 성공하고, 내년부터는 연간으로도 흑자전환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적자 행진에도 SK온의 1분기 예상 매출액은 약 1조4000억 원 규모로, 수주 물량 증가와 해외 생산기지 가동 등에 힘입어 분기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배터리 3사 중에서는 삼성SDI가 유일하게 비교적 만족스러운 실적을 거뒀다. 올해 1분기 삼성SDI 매출액은 매출 4조494억 원, 영업이익 3223억 원을 기록했다. 삼성SDI의 지난해 매출은 13조5532억 원, 영업이익은 1조676억 원이었다. 

 

삼성SDI 역시 완성차 생산 차질과 원자재 가격 급등 영향으로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에 부담이 커진 상황이지만, 전동공구용 원형 전지 수요 증가와 반도체 소재 및 편광필름 사업 호조로 비교적 안정적인 실적을 낸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에 비해 해외 생산기지 증설 투자에 보수적인 대신 수익성 위주의 경영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앞서 삼성SDI 대표이사 최윤호 사장은 지난 주주총회에서 “품질과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을 추구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적극적이거나 혹은 신중하거나

 

국내 배터리 3사 중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이 공격적으로 해외 생산시설 확장에 나선 가운데 삼성SDI가 유독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전기차 전환을 추진하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일찍부터 손잡고 전기차용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에 총력을 기울이지만, 삼성SDI는 아직 합작공장 부지조차 결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삼성SDI는 지난해 처음으로 후발주자인 SK온에 점유율 역전을 당하기까지 했는데 앞으로 시장 성장률에 맞춰 투자를 이어가면서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삼성SDI는 생산능력 확장을 위한 시설 투자에 있어 비교적 보수적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배터리 수요 증가세에 맞춰 북미와 유럽에서 공세적으로 생산기지를 늘리는 국내 경쟁사들과 대조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스텔란티스와 총 4조8000억 원을 공동으로 투자해 캐나다에 배터리 합작공장(연산 45GWh)을 건설하고, 이와 별개로 미국 애리조나주에 총 1조7000억 원을 투입해 배터리 단독공장(11GWh)을 세우겠다고 발표했다. SK온도 미국 완성체 업체 포드와 터키에 전기차 배터리 합작공장(30GWh)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투자금액은 밝히지 않았지만, 최소 수조 원 규모로 추정된다.

 

반면 삼성SDI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과 달리 현재 생산능력과 생산능력 확대 계획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그간 완성차 업체와 합작 없이 독자 행보를 유지해오던 삼성SDI는 지난해 말 국내 3사 중 마지막으로 스텔란티스와 미국 내 합작공장을 설립한다고 발표했지만, 합작공장 부지조차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북미 시장에서 현재까지 확정된 투자 계획을 종합하면 2025년 기준 생산능력은 LG에너지솔루션(205GWh 이상)과 SK온(150GWh)에 비해 삼성SDI(23GWh)가 확연히 적다. 이 같은 보수적 투자 기조가 이어지면서 삼성SDI는 지난해 후발주자인 SK온에 처음으로 배터리 점유율을 추월당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삼성SDI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점유율은 2020년 5.8%에서 지난해 4.5%로 하락했고, 순위도 5위에서 6위로 떨어졌다. 반면 SK온은 점유율을 5.5%에서 5.6%로 끌어올리며 삼성SDI를 제치고 6위에서 5위로 올라섰다. SK온의 생산능력 증가 속도가 빠른 만큼 향후 SK온과 삼성SDI 간 점유율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삼성SDI가 시설 투자 대신 배터리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로 2021년도 각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삼성SDI는 지난해 연구개발비용으로 총 8776억 원을 투자해 국내 배터리 3사 중 지출 규모가 가장 컸다. 

 

LG에너지솔루션의 연구개발비용은 6540억 원, SK온의 모회사 SK이노베이션은 3641억 원이었다.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지출도 삼성SDI가 6.5%로 LG에너지솔루션(3.7%)과 SK이노베이션(0.78%)보다 높았다. 삼성SDI는 특히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SDI는 최근 경기 수원시 SDI연구소 내 6500㎡(약 2000평) 규모의 전고체 전지 파일럿 라인(S라인)을 착공했다. 삼성SDI는 이 파일럿 라인을 중심으로 전고체 전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7년 양산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상호명(명칭) : (주)첨단 | 등록번호 : 서울,자00420 | 등록일자 : 2013년05월15일 | 제호 :헬로티(helloT)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김진희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12년 4월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 Hello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