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역 인근에 거주 중인 A모 씨는 최근 치아교정을 위해 치과를 찾았다. 웃을 때마다 드러나는 고르지 못한 치열이 늘 스트레스였기 때문이다.
미소를 지을 때마다 드러나는 치아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일 A씨처럼 고르지 못한 치열로 고민하는 경우 콤플렉스는 물론 위생 관리가 어려워 충치나 치주염, 구취 등 기능적인 문제까지 유발할 수도 있다.
심한 부정 교합을 방치할 경우 치아가 변형돼 턱이 비정상적으로 틀어지거나 각종 질환 발생 위험도 있어 조기에 정확한 진단 후 치아 교정 등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는 게 교정과 전문의들의 조언이다.
치아교정은 단순히 심미적인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아닌 정상적인 교합을 위한 치아 재배열을 통해 저작, 발음, 연하 등의 구강악안면부의 기능을 회복하는 치료의 일환이다.
이들 전문의는 개인마다 구강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정밀 분석과 진단이 선행돼야 하는데, 환자의 교합과 나이, 병력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치료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이들은 과거에 비해 교정 장치 및 방법들이 다양해지고 있어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고, 만일 직업이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교정 장치가 보이지 않게 하고 싶다면 치아 안쪽으로 붙이는 설측 교정이나 투명 교정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전했다.
강북예치과병원 한서영 원장은 “치아교정은 치열이 고르게 됐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교정장치 제거 후 사후관리도 중요하다”며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만큼 체계적인 사후관리와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