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11월 24일, 신기후체제가 전력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신재생에너지 확산을 준비하기 위한 '기후변화와 신재생에너지 확산을 대비하는 전력시장 컨퍼런스'를 열었다.
이번 컨퍼런스는 산·학·연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조만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될 유엔기후변화 당사국 회의의 논의동향과 온실가스 감축이 전력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향을 짚어보는 자리였다.
특히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와 배출권거래제(ETS)의 주요 내용, 시장 정산기준, 정산기준 개선뱡향 등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과 의견 개진이 이루어졌다.
RPS와 ETS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주요 이행수단으로, 발전사에 대해 발전량 중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도록 의무화하고, 발전사 등에 대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할당해 부족하거나 초과하는 부분은 거래하도록 한 제도이다. 이러한 의무 이행에 대한 비용 부담이 전력 도매시장(전력거래소)에서 전력 판매회사에 의해 정산되고 있거나 정산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해외 배출권거래제도의 현황 및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연계운영의 효과를 제시하는 등 향후 개선방향에 대해 연세대 양준모 교수 등이 발표했다.
한편, 전력거래소 김권수 처장은 극심한 가뭄으로 발전소에 제한수가 단행돼 시장가격 진폭이 확대되는 등 기후변화가 전력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고, 한전 허용호 처장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는 마이크로그리드 분야 연구개발(R&D)의 기대효과와 전기차 등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에너지신산업에 대해 소개했다.
산업부 정양호 에너지자원실장은 "전력시장이 제공하는 가격신호와 비용정산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원 구성 및 기술개발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관련 투자 및 연구개발 활동의 예측가능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