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이차전지, 항공우주 등 첨단산업에 필요한 희소금속 공급망 강화를 위해 국내 기업들이 협력을 강화한다.
산업통상부는 20일 서울 용산 피스앤파크에서 '제2차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를 열고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협의회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은 최근 중국의 수출통제 강화 등으로 희토류를 비롯한 주요 희소금속의 수급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공급망 동향을 면밀히 분석해 국내 산업 발전과 연계한 국가 핵심 희소금속 선정·관리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장에서는 국가희소금속센터, 고려아연, 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가 '게르마늄 상생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지난 8월 고려아연이 미국 방산업체 록히드마틴과 맺은 '게르마늄 공급·구매 및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을 위한 MOU'에 이은 것으로, 국내 기업 간 상생 기반을 다지고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번 협력을 통해 고려아연은 아연 제련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에서 게르마늄을 생산하고, 에이치케이머티리얼즈는 이를 반도체용 가스로 정제·농축해 국내 반도체 기업에 공급하기로 했다.
국가희소금속센터는 게르마늄 고순도화 기술 개발 및 산업 활용 확대를 위한 기업 간 연계 전략을 마련한다.
협의회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희소금속 산업 발전대책' 연구용역 중간 결과도 공유했다.
나성화 산업부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이번 MOU가 국내 희소금속 생태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며 "정부도 이런 민관 협업 모델을 적극 발굴·지원하고 전문가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